Pradāśa (Sanskrit; Tibetan phonetic: tsikpa) is a Buddhist term translated as "spite" or "spitefulness". It is defined as an attitude based on fury/indignation (krodha) and resentment (upanāha) in which one is unable or unwilling to forgive; it causes one to utter harsh words. It is one of the twenty subsidiary unwholesome mental factors within the Mahayana Abhidharma teachings. The Abhidharma-samuccaya states: Spite is a derivative of anger (pratigha).
Attributes | Values |
---|
rdf:type
| |
rdfs:label
| - 뇌 (마음작용) (ko)
- Pradāśa (en)
|
rdfs:comment
| - Pradāśa (Sanskrit; Tibetan phonetic: tsikpa) is a Buddhist term translated as "spite" or "spitefulness". It is defined as an attitude based on fury/indignation (krodha) and resentment (upanāha) in which one is unable or unwilling to forgive; it causes one to utter harsh words. It is one of the twenty subsidiary unwholesome mental factors within the Mahayana Abhidharma teachings. The Abhidharma-samuccaya states: Spite is a derivative of anger (pratigha). (en)
- (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서의 뇌(惱)에 대해서는 뇌 (불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뇌(惱, 괴롭힘,산스크리트어: pradāśa,영어: spite,spitefulness,malice)는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뇌(惱)는 심흔려(心佷悷) 즉 마음으로 하여금 다른 이에 대해 패려궂는 행위를 하게 하고 다른 이를 슬프게 만드는 행위를 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다른 이에게 패려궂고 다른 이를 슬프게 하려는 마음이다. (ko)
|
dcterms:subject
| |
Wikipage page ID
| |
Wikipage revision ID
| |
Link from a Wikipage to another Wikipage
| |
Link from a Wikipage to an external page
| |
sameAs
| |
dbp:wikiPageUsesTemplate
| |
en
| - annoyance (en)
- spite, (en)
- spitefulness, (en)
|
fontsize
| |
title
| |
has abstract
| - Pradāśa (Sanskrit; Tibetan phonetic: tsikpa) is a Buddhist term translated as "spite" or "spitefulness". It is defined as an attitude based on fury/indignation (krodha) and resentment (upanāha) in which one is unable or unwilling to forgive; it causes one to utter harsh words. It is one of the twenty subsidiary unwholesome mental factors within the Mahayana Abhidharma teachings. The Abhidharma-samuccaya states: What is spite (pradāśa)? It is a vindictive attitude preceded by fury/indignation (krodha) and resentment (upanāha)–forming part of anger–and its function is to become the basis for harsh and strong words, to increase what is not meritorious, and not to allow one to feel happy. Spite is a derivative of anger (pratigha). (en)
- (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서의 뇌(惱)에 대해서는 뇌 (불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뇌(惱, 괴롭힘,산스크리트어: pradāśa,영어: spite,spitefulness,malice)는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뇌(惱)는 심흔려(心佷悷) 즉 마음으로 하여금 다른 이에 대해 패려궂는 행위를 하게 하고 다른 이를 슬프게 만드는 행위를 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다른 이에게 패려궂고 다른 이를 슬프게 하려는 마음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에 따르면,뇌(惱)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나쁜 일 또는 행위[罪事]에 견고히 집착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뇌(惱)와 상응하게 되면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다른 이의 진실한 충고[諫]를 들어도 그 나쁜 일 또는 행위[罪事]를 회개(悔改: 잘못을 뉘우치고 고침)하지 못하여 스스로 번민(煩悶: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함)하게 된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 따르면,뇌(惱)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과거의 진(瞋: 증오하고 성냄)의 대상을 돌이켜 생각하게 하여 진노(瞋怒: 성내고 노여워함)하게 하고 괴롭힘[惱]을 행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현재의 대상이 자기 뜻에 맞지 아니한 것을 보고 진노(瞋怒: 성내고 노여워함)하게 하고 괴롭힘[惱]을 행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ko)
|
bo
| |
bo-Latn
| - THL: tsikpa (en)
- Wylie: 'tshig pa; (en)
|
sa
| |
gold:hypernym
| |
prov:wasDerivedFrom
| |
page length (characters) of wiki page
| |
foaf:isPrimaryTopicOf
| |
is Link from a Wikipage to another Wikipage
of | |
is Wikipage redirect
of | |
is foaf:primaryTopic
of | |